“창업∙성장의 리소스는 충분…유니콘과 글로벌 스타트업 나올 때”
2023-05-02“창업∙성장의 리소스는 충분…유니콘과 글로벌 스타트업 나올 때”
‘스타트업 스쿨 부산’ 라운드테이블…시, “부산에서 다 할 수 있도록 지원”
2023년 4월 25일
중소벤처기업부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벤처투자의 81%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에서 유니콘으로 성장한 스타트업 역시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이러한 양극화를 해소하고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것이 최근 떠오르는 이슈 중 하나입니다.
25일 ‘스타트업 스쿨 부산’ 런칭 행사 2부에서는 “스타트업에게 듣는다: 지역 생태계의 발전을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이 진행되었습니다. 스타트업 스쿨 부산의 목적이 모든 경제활동이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지역, 특히 부산 지역의 스타트업들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인 만큼, 라운드테이블은 스타트업 대표들의 어려움을 듣고 창업 생태계나 부산광역시 차원에서의 지원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소풍벤처스 한종호 파트너가 진행을 맡았고 부산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3명의 스타트업 대표(이명한 스패너 대표, 김병근 ㈜오토피디아 대표, 김민지 브이드림 대표), 그리고 손성은 부산시 금융창업정책관이 참여해 진솔하고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스타트업 생태계 측면에서 부산은 어떤 곳일까?
한종호 파트너: 최근 들어 각 지역에서 스타트업 생태계를 위한 노력들이 펼쳐지고 있는데 자칫 이런 노력이 ‘서울과 수도권’을 닮기 위한 방향으로 치우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 방향을 세웠으면 합니다. ‘스타트업 스쿨 부산’을 시작하면서 부산의 창업 생태계 현황도 짚어보고, 실제로 현장에서 뛰고 있는 스타트업, 부산에서 창업 생태계를 만들고 계시는 정책관님과 함께 이야기할 수 있어 뜻깊은 자리인 것 같습니다. 세 대표님 모두 부산에 연고가 있는 선배 창업가로서, 부산은 어떤 점에서 사업을 시작하기 좋은 환경, 혹은 부족한 환경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이명한 스패너 대표: 저희는 창업자 둘 모두 부산에 있는 대학교를 나왔고, 핵심 개발자들이 대부분 부산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또 작년 8월에는 네덜란드 최대 증류사와 부산에서 실증 테스트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부산에서 모이게 됐고, R&D 센터 역시 부산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부산도 다양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여전히 너무 많은 자원과 돈, 사람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부산에도 다양한 스타트업 관계자들과 네트워킹할 수 있는 공간이나 커뮤니티가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김병근 ㈜오토피디아 대표: 부산시의 모토 중 하나가 ‘다이나믹 부산’인데, 우리 부산시민이 가지고 있는 열정이 부산의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창업자들의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더 많아졌으면 합니다. 10년 전을 돌이켜 보면 서울에서만 열리는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부산에서 기차를 타고 올라가야 하는 등 상당한 노력을 들여야 했습니다. 지금은 그때보다 기회는 많이 늘어났지만 여전히 창업자들의 가치를 키우기에는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